
정기 신청: 2025년 8월 말~9월 초 사이 지급
2025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청한 경우, 대부분 8월 말~9월 초 사이에 근로장려금이 지급돼요.
정기 신청은 신청자 수가 많다 보니 국세청 심사에 시간이 걸리고, 보통 여름방학이 끝날 무렵쯤 통장으로 들어오더라고요.
저 같은 경우 작년(2024년)에 5월 중순쯤 신청했는데, 실제 지급일은 9월 초였어요.
주변에선 8월 28일에 받았다는 분도 있었고요.
신청 완료 후에는 국세청 홈택스나 손택스를 통해 지급 예정일 확인이 가능해요.
신청 기간 | 지급 시기 |
---|---|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2025년 8월 말 ~ 9월 초 |
반기 신청: 소득 시기에 따라 6월 말 또는 12월 지급
2024년 하반기 소득분 (2025년 3월 신청)
2025년 3월 1일부터 3월 17일 사이에 신청한 사람들은 2024년 하반기 소득 기준으로 심사받아 2025년 6월 말에 지급됩니다.
실제로 6월 28일~30일 사이에 받는 경우가 많아요.
2025년 상반기 소득분 (2025년 9월 신청)
202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신청하면, 2025년 상반기 소득 기준으로 심사받아 2025년 12월 중 지급됩니다.
연말에 목돈이 필요한 분들에겐 이 타이밍이 꽤 유용해요.
전년도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2024년 하반기 신청자는 6월 29일 전후로, 상반기 신청자는 12월 23일쯤 받았다는 후기가 많았어요.
- 하반기 소득: 2025년 6월 말 지급
- 상반기 소득: 2025년 12월 지급
기한 후 신청: 감액 주의! 신청일 기준 4개월 이내 지급
2025년 6월 1일 이후에 신청한 경우는 ‘기한 후 신청’에 해당돼요.
이 경우 정상 지급일보다 늦게 받을 뿐만 아니라, 지급액의 5%가 감액된다는 점도 꼭 기억하세요.
예를 들어, 원래 받을 금액이 100만 원이라면 기한 후 신청 시 95만 원만 지급됩니다.
급한 사정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늦게 신청하긴 했지만, 저도 이 5% 감액이 아쉬웠어요.
기한 후 신청 시에는 신청일 기준 4개월 이내에 지급되므로, 6월 10일에 신청했다면 늦어도 10월 초에는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5% 손해는 피할 수 없습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일 요약 정리
구분 | 신청 기간 | 지급 시기 | 비고 |
---|---|---|---|
정기 신청 | 2025.05.01 ~ 05.31 | 8월 말 ~ 9월 초 | 지급률 100% |
반기 신청 (하반기 소득) | 2025.03.01 ~ 03.17 | 6월 말 | 2024년 하반기 소득 기준 |
반기 신청 (상반기 소득) | 2025.09.01 ~ 09.15 | 12월 | 2025년 상반기 소득 기준 |
기한 후 신청 | 2025.06.01 이후 | 신청 후 4개월 이내 | 5% 감액 |
결론: 내 상황에 맞춰 정확히 신청하세요
2025 근로장려금, 제대로 받으려면 신청 시기와 지급일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해요.
정기 신청이든 반기 신청이든 미리 준비하면 놓치는 일 없고, 특히 기한 후 신청은 되도록 피하는 게 좋아요.
제가 겪은 바론, 홈택스 알림 설정을 해두면 지급 예정일이나 심사 결과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어 편했어요.
신청만 잘해도 꽤 큰 금액이 들어오니까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신청 마감일을 놓치지 않도록, 캘린더에 미리 알림 설정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주위에 몰라서 못 받은 사람들 정말 많거든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2025년 정기 신청자 지급일은 정확히 언제인가요?
A. 국세청 심사 후 보통 8월 말에서 9월 초 사이에 지급됩니다.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요.
Q2. 기한 후 신청하면 얼마나 감액되나요?
A. 정상 지급금의 5%가 감액돼요. 예를 들어 100만 원 받을 예정이었다면 95만 원만 받을 수 있어요.
Q3. 반기 신청과 정기 신청 중 어떤 게 더 유리한가요?
A. 자금이 자주 필요한 분들은 반기 신청이 유리하고, 한 번에 목돈을 받고 싶은 분들은 정기 신청이 나아요. 다만 반기 신청은 소득 증빙에 민감하니 유의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