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체류 중이었는데… 민생회복 소비쿠폰 받을 수 있나요?”
잠시 가족을 만나러, 업무 차 장기 출장을 다녀온 분들.
여권에 스탬프가 찍힐 만큼 오랜만에 한국 땅을 밟은 이들은 자연스럽게 궁금해집니다.
“나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받을 수 있는 거 맞아?”
문제는 지급 기준일이 정해져 있고, 대부분의 정보가 국내 거주자 기준으로 안내되어 있다는 점이죠.
그럼 해외 체류자라고 무조건 제외되는 걸까요?
다행히도 아닙니다. 귀국 시점과 이의신청 절차를 통해 지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해외 체류자도 받을 수 있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조건은?
6월 18일~9월 12일 사이에 귀국한 경우 가능
정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25년 6월 18일 기준 국외 체류 중이던 국민이라도 9월 12일 오후 6시까지 귀국하면 소비쿠폰 지급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 귀국일이 6월 18일~9월 12일 사이일 것
- 출입국 사실을 증빙할 수 있을 것
- 이의신청을 통해 신청할 것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된다면, 국내에 체류하지 않았더라도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요.
출입국 사실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가장 중요한 건 출입국사실증명서입니다.
이건 쉽게 인터넷이나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
발급 방법 | 세부 내용 |
---|---|
온라인 발급 | 정부24 또는 민원24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신청 가능 |
오프라인 발급 | 주민센터 방문 시 신분증 지참 후 바로 발급 가능 |
해외에서 귀국해 바로 신청하셨다는 지인의 얘기를 들었는데요, 공항 도착 다음 날 바로 주민센터 가서 서류 준비하고 이의신청 접수하니 3주 만에 지급됐다고 하더라고요.
이의신청,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둘 다 가능
- 온라인: 국민신문고 (epeople.go.kr)
-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읍·면사무소 등
단, 신청 첫 주에는 요일제 운영이 적용되기 때문에 출생년도 끝자리에 맞춰 방문하셔야 해요.
주말에는 운영하지 않으니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사이에 접수하시는 게 좋습니다.
신청 마감일은 9월 12일, 시간도 중요!
단순히 9월 12일까지가 아니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특히 오프라인 신청 시, 업무 마감 시간이 더 빠를 수 있으니 여유를 두고 방문하셔야 해요.
예를 들어, 여행을 마치고 9월 10일에 귀국했다면, 바로 다음 날 필요한 서류를 챙기고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하루 이틀 차이로 놓치면 30만 원에서 최대 45만 원까지의 혜택을 날릴 수 있거든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금액은 얼마나?
구분 | 지급 금액 |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 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 30만 원 |
일반 국민 | 15만 원 |
비수도권 거주자 | +3만 원 |
인구감소지역 거주자 | +5만 원 |
해외 체류자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요약
- 해외 체류 중이었더라도 6월 18일~9월 12일 귀국 시 신청 가능
- 출입국사실증명서 필수
- 온라인(국민신문고) 또는 오프라인 이의신청 절차 거쳐야 함
- 9월 12일 오후 6시 마감, 지연 시 신청 불가
마무리 요약: 귀국했다면 꼭 챙기세요
짧은 여행이나 출장, 혹은 장기 체류로 인해 해외에 있었더라도 9월 12일 이전 귀국했다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충분히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단 하루 차이로 이 돈을 놓친다면 정말 아까울 거예요.
저도 가족 중 한 명이 해외에서 돌아온 지 일주일 만에 서류 챙겨서 지급받은 경험이 있어서 이건 꼭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시간이 많지 않아요. 서둘러 서류 준비해서 신청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9월 12일 이전에 귀국했지만, 서류 준비가 늦어졌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신청 마감은 9월 12일 오후 6시입니다. 마감 이후에는 이의신청도 불가하므로, 귀국 즉시 주민센터 방문 및 온라인 접수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Q2. 출입국사실증명서는 어디서 받나요?
정부24(www.gov.kr)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본인 확인 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Q3. 해외 체류자는 자동 제외되나요?
아니요. 체류 여부만으로 자동 제외되지 않습니다. 6월 18일~9월 12일 사이 귀국한 사실과 거주지를 증빙하면 신청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