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감소지역에 살면 소비쿠폰 5만원이 더!
“나는 받을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부터
요즘 주변에서 “소비쿠폰 받았어?”라는 얘기, 자주 들리시죠?
특히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히 15만원만 받는 게 아니라, 특정 지역에 거주 중인 사람은 5만원이 추가 지급된다고 해요.
그 기준이 되는 건 바로 ‘인구감소지역’입니다.
“나는 해당될까?”, “우리 지역은 포함되나?” 이런 궁금증 많으셨을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행정안전부 기준으로 발표된 84개 인구감소지역 리스트와 함께, 추가 5만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 조건까지 자세히 정리해봤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인구감소지역이란?
행안부 지정 기준 + 농어촌 중심 지역
정부는 지방 소멸 위험을 줄이기 위해 농어촌의 인구감소지역을 따로 선정하고 있어요.
이 기준에 따라 선정된 시·군 지역은 2025년 6월 기준 총 84곳입니다.
참고로 원래는 89개였지만, 서울·부산 같은 도시 지역 자치구 5곳은 제외되어 실제 지급 대상은 84개 시·군이에요.
2025년 인구감소지역 84곳 전체 리스트
지역별로 보기 쉽게 정리한 표
권역 | 시·군 |
---|---|
대구 | 군위군 |
인천 | 강화군, 옹진군 |
경기 | 가평군, 연천군 |
강원 |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충북 |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
충남 |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전북 |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
전남 |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경북 |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제가 살고 있는 전남 해남군도 이번에 포함됐더라고요. 지역 주민들에게는 정말 반가운 혜택입니다.
5만원 추가 지급 조건, 꼭 확인하세요
‘인구감소지역 거주’ 외에도 중요한 2가지
- 2025년 6월 18일 기준,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 기본 소비쿠폰 지급 조건(전 국민 대상)과 동일하게 신청해야 지급 가능
즉, “나는 인구감소지역에 살고 있는데 왜 5만원 더 안 들어왔지?”라고 의아하셨다면, 주소지 기준일이나 정상적인 신청 여부를 한 번 더 확인해보셔야 해요.
지역별 특징 살펴보기
왜 이 지역들이 혜택 대상일까?
이 지역들은 공통적으로 청년 인구 유출, 고령화, 출산율 저하라는 문제를 안고 있어요.
예를 들어 전북 장수군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무려 40% 가까이 되고, 경북 청송군은 연간 인구 순이동률이 전국 최하위권입니다.
정부는 이런 곳에 소비 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5만원 지급’을 추진한 거죠.
저희 부모님이 살고 계신 충북 단양도 이번 리스트에 포함됐어요.
평소 관광객이 많은 곳이긴 하지만, 정작 지역 상권은 비수기엔 힘들다 보니 이런 정책이 꼭 필요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론: 우리 지역이 포함됐는지 꼭 확인하세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닙니다.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이기도 해요.
인구감소지역에 해당한다면 5만원은 더 챙기실 수 있으니, 주소지 기준일(6.18)을 꼭 확인하시고, 정상 신청 여부도 체크해보세요.
혹시 신청 누락이나 오류가 있었다면, 국민신문고나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이의신청도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소비쿠폰 5만원 추가 지급은 언제 받나요?
기본 쿠폰과 함께 지급되며, 인구감소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단, 주소 기준일과 신청 여부가 정확해야 합니다.
Q2. 나는 6월 19일에 주소 이전했는데, 추가 지급 대상인가요?
아쉽게도 아닙니다. 기준일은 2025년 6월 18일입니다. 해당 날짜 기준 주민등록 주소지가 인구감소지역이어야 합니다.
Q3. 농어촌 외에 도시 인구감소지역은 왜 제외됐나요?
행안부 정책상 도시 자치구는 지역균형발전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실질적 소멸 위기에 처한 시·군 중심으로 혜택이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