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5만 원 더 받는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우리 동네도 포함될까?

84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이런 분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내가 사는 지역도 혹시 인구감소지역일까?”

“남들보다 5만 원 더 받을 수 있다는데, 기준이 뭐지?”

“내 고향 군 단위인데, 해당될까?”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다는 소식, 반가운 마음으로 기다리셨죠.

그런데 기준일인 6월 18일을 기준으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주민에게는 추가로 5만 원이 더 지급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생각보다 많은 지역이 대상이고, 나도 모르게 대상이 될 수 있거든요.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이란? 기준과 대상 이해하기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에서 5만 원을 더 받을 수 있는 핵심 조건 중 하나는 바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입니다.

이 지역들은 행정안전부가 고시한 인구소멸 우려지역 중, 도시 자치구(5곳)를 제외한 시·군 단위 농어촌 지역이에요.

총 89개 인구감소지역 중 도시지역 5곳을 제외한 84개 지역이 대상입니다.

예산군이나 강화군처럼 익숙한 지명도 있고, 군위군처럼 평소엔 잘 모르던 지역도 포함되어 있죠.


지역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곳 정리

“우리 동네는 해당될까?”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

아래 표를 참고해보세요.

지역 시군구 수 세부 지역
대구 1 군위군
인천 2 강화군, 옹진군
경기 2 가평군, 연천군
강원 12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충북 6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충남 9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전북 10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남 16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경북 15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경남 11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실제로 저는 이렇게 확인했어요

저는 강화군에 거주 중인데요, 네이버 앱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고 나니, 대상 여부도 뜨고 예상 금액도 바로 알려줘서 정말 편했어요.

특히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은 직접 검색하기 번거로운데, 자동으로 알려주니 안심이 되더라고요.

부모님 댁이 충남 예산군이라 알려드렸더니, 주민센터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하다고 해서 접수 도와드렸어요.

온라인 신청 어려운 어르신들은 꼭 알려드리면 좋겠어요.


놓치면 아까운 꿀팁, 꼭 기억하세요

  • 기준일(6월 18일)에 해당 지역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대상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해당되면 자동 추가 5만 원 적용
  • 네이버, 카카오, 토스 앱으로 사전 알림 신청 가능
  • 온라인이 어려운 경우, 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찾아가는 신청’도 가능

결론: 5만 원 더 받는 기회, 우리 동네도 대상일 수 있어요

생각보다 많은 지역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요.

특히 시골 고향에 계신 부모님이나, 군 단위에 거주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꼭 확인해보셔야 해요.

이미 1인당 35만~40만 원 수준으로 지급되는 상황에서 추가 5만 원은 크니까요.

단순히 ‘우리 동네가 작으니까 해당될 거야’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위 표나 알림 서비스를 활용해 확실히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모르면 놓치고, 알고 있으면 챙겨갈 수 있는 차이니까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주민은 무조건 5만 원을 더 받나요?

A. 기준일(2024년 6월 18일)에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지급 대상자여야 추가 금액이 지급됩니다.

Q2. 내가 사는 지역이 해당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국민비서 서비스(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Q3. 주소지만 농어촌 지역이고 실제로 도시에 살고 있어도 받을 수 있나요?

A.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실제 거주지가 아닌 주소지가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